챌린저스(Challengers, 2024)는 루카 구아다니노(Luca Guadagnino) 감독이 연출하고, 젠데이아(Zendaya), 마이크 파이스트(Mike Faist), 조시 오코너(Josh O'Connor)가 주연을 맡은 스포츠 로맨스 드라마 영화다. 테니스를 배경으로 세 인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긴장감 있는 삼각관계와 경쟁, 그리고 감정의 교차점을 스타일리시하고 감각적인 연출로 그려낸 이 작품은 단순한 스포츠 영화나 멜로를 넘어서 심리적인 밀도와 인간관계의 복잡함을 깊이 있게 담아낸다. 젠데이아는 테니스 스타이자 코치인 태시 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력과 존재감으로 서사를 이끌며, 관객을 감정의 중심으로 끌어들인다. 챌린저스는 테니스라는 경기의 스릴과 감정의 라인을 교차 편집을 통해 탁월하게 엮어내며, 사랑과 승부의 경계가 얼마나 모호하고 날카로운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1. 챌린저스, 경쟁과 감정의 경계 위에서 시작된 삼각관계
영화 챌린저스 속 이야기는 세 젊은 테니스 선수, 태시, 아트, 패트릭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전개된다. 태시는 코트 위에서 누구보다 냉철하고 뛰어난 실력을 지닌 선수였고, 아트와 패트릭은 절친한 친구이자 모두 그녀에게 끌리는 감정을 갖고 있었다. 태시는 처음에는 자유롭고 열정적인 성격의 패트릭에게 이끌리지만, 점점 더 진지하고 안정적인 아트와 가까워지게 된다. 이들의 감정은 단순한 연애 감정을 넘어서, 서로의 우정과 커리어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 영화는 이 삼각관계가 단순히 ‘누가 누구를 사랑하는가’를 넘어, 상대와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질투, 불안, 우월감, 열등감 같은 감정들을 정교하게 탐색한다. 현재 시점에서 태시는 부상으로 은퇴한 뒤 아트의 코치가 되었고, 아트는 슬럼프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때 오랜 시간 연락이 끊겼던 패트릭이 다시 등장하며, 얽혀 있던 세 사람의 과거가 재점화된다. 그리고 이들은 챌린저급 테니스 대회에서 다시 맞붙게 된다. 코트 위에서 벌어지는 경기는 단순한 스포츠의 승부를 넘어, 과거의 감정과 상처, 자존심이 충돌하는 감정의 전장이 된다. 영화는 이 모든 복잡한 요소들을 감각적인 편집과 음악, 클로즈업 연출을 통해 강렬하게 전달한다.
2.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심리적인 테니스 게임
챌린저스는 전통적인 시간 순서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현재의 경기 장면과 과거의 인연들이 교차되며 관객은 점차 인물들의 내면과 관계의 뿌리를 이해하게 된다. 태시의 젊은 시절은 당당하고 패기 넘치지만, 동시에 사람을 시험에 들게 하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경기에서뿐만 아니라 관계 속에서도 주도권을 쥐는 인물이다. 아트는 늘 태시를 존중하고 따르며 안정적인 삶을 원하지만, 패트릭은 반대로 자유롭고 본능에 충실한 인물로, 이 두 남자의 성격 차이는 이들의 삼각관계를 더욱 팽팽하게 만든다. 경기장에서의 물리적 움직임은 곧 그들의 감정선과 이어지고, 라켓을 휘두르는 한 장면조차 심리적 긴장감을 극대화시킨다. 특히 태시가 코트 밖에서 이 둘을 어떻게 조율하고, 때로는 자극하며 균형을 유지하려는 모습은 단순한 로맨스 주인공 이상의 복합적인 인물임을 보여준다. 영화는 감정과 게임, 승부와 사랑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을 이야기하며, 삶 속의 모든 관계는 결국 ‘경쟁’의 요소를 갖고 있다는 시선을 담고 있다. 젠데이아는 이 다층적인 태시라는 인물을 섬세하게 표현해내며, 캐릭터의 권력과 취약함을 동시에 보여준다. 극 중 인물들은 스스로도 혼란스러워하는 감정 속에서 움직이고, 그 모호한 감정의 흐름이야말로 이 영화의 진짜 긴장감이자 흡입력이다.
3. 승자 없는 경기에서 드러난 감정의 결말
영화의 결말부에서 아트와 패트릭은 챌린저급 대회의 결승전에서 맞붙는다. 그들은 단지 테니스 경기의 승패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과거와 감정, 태시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함께 끌어안고 라켓을 휘두른다. 경기 내내 그들의 표정과 태도는 변화하며, 경기를 통해 그들이 억눌러왔던 감정들이 표출된다. 태시는 이 경기를 지켜보며 그동안 자신이 선택하고 놓아버렸던 관계와 감정에 대해 재고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누가 이기고 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영화는 의도적으로 승자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피하고, 오히려 감정을 완전히 마주한 인물들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이 경기는 서로에 대한 마지막 감정 정리이며, 얽혀 있던 관계의 실타래를 풀어내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태시 역시 과거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현재의 삶과 관계 속에서 새로운 결정을 내리게 된다. 챌린저스는 단순한 연애 감정이나 경기 장면을 넘어서, 인간관계의 미묘한 균형과 감정의 흐름을 한 편의 시처럼 담아낸다. 영화는 ‘사랑은 경기와 같다’는 전형적인 비유를 훌쩍 뛰어넘어, 감정 자체가 얼마나 경쟁적이고 예측 불가능한지를 보여준다. 루카 구아다니노 특유의 세련된 연출과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가 조화를 이루며, 챌린저스는 한 편의 감정적 서스펜스처럼 느껴지는 독특한 로맨스 드라마로 완성된다. 테니스 코트 위에서 펼쳐지는 감정의 랠리는 관객에게 경기 이상의 긴장과 공감을 선사하며, 오래도록 잔상을 남긴다.